임차인 사망 시 임차권 승계 전세금 상속 정리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을 맺고 주택을 빌려주고 사용하는 동안, 인생에서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갑작스러운 임차인 사망입니다. 이처럼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임차인이 갖고 있던 주택의 임차권과 관련된 권리와 채무는 어떻게 될까요?

이러한 상황은 임대인뿐만 아니라 임차인의 가족들 모두에게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임차권의 승계와 관련된 법적 사항을 미리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는 임차인 사망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임차인 사망

먼저 임차인 사망 후 임차권 상속에 관해 설명하겠습니다.

임차인 사망 및 임차권 상속

임차인이 사망하고 상속인이 없는 경우

  • 임차인이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 그 임차 주택에서 사실혼 관계로 가정 공동생활을 하고 있던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단독으로 승계하게 됩니다.

여기서 ‘가정 공동생활’이란, 함께 거주하며 생계를 같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임차인이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 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가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9조 1항

  • 하지만 임차인이 사망했을 때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조차 없는 경우, 임차권을 포함한 모든 상속재산은 국가에 귀속됩니다.

임차인이 사망하고 상속인이 있는 경우

  • 임차인이 사망했을 때, 만약 「민법」에 따른 상속인이 임차인과 함께 임차 주택에서 살고 있었다면, 그 상속인이 임차권을 승계하게 됩니다.

이 경우,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은 임차권을 승계할 수 없습니다

  • 하지만, 임차인 사망 당시 상속인이 임차 주택에서 함께 살고 있지 않았다면, 임차 주택에서 사실혼 관계로 같이 살던 사람과 2촌 이내의 친족이 함께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게 됩니다.

임차인이 사망한 때에 사망 당시 상속인이 그 주택에서 가정 공동생활을 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 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와 2촌 이내의 친족이 공동으로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9조 2항

만약 2촌 이내의 친족이 없다면,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이 단독으로 임차권을 승계하게 됩니다.

임차인 사망 후 상속인이나 사실혼 관계자가 승계를 받은 이후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임차권 승계의 효과

  •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 사람은 임대차 관계에서 발생한 여러 권리와 의무를 함께 승계합니다.

예를 들어, 임차주택인도청구권(임차 주택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 임차주택수선청구권(집을 수리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 차임감액청구권(임대료를 줄여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권리), 보증금반환청구권(보증금을 돌려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차임지급의무(임대료를 지불해야 하는 의무)나 원상회복의무(집을 원래 상태로 복구해야 하는 의무)도 승계하게 됩니다.

  • 임차권의 승계는 법률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임대인에게 별도로 승계의 의사를 알릴 필요는 없습니다.
  • 하지만, 임대차와 직접 관련이 없는 채권, 예를 들어 대여금청구권(빌려준 돈을 돌려받을 권리)나 손해배상청구권 등은 승계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민법」의 상속 규정에 따라 상속인이 상속하게 됩니다.

임차권 승계의 포기

하지만 임차인이 사망했다고 해서 법정 상속인이 무조건 승계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망한 임차인의 채무가 보증금 반환 청구권보다 많아서 임차권을 승계하는 것이 불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 임차권의 승계자가 임차권을 승계하고 싶지 않다면, 임차인이 사망한 후 1개월 이내에 임대인에게 임차권을 승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임차권 승계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임차인이 사망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임차권의 승계와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임차권 승계는 법적으로 정해진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며, 승계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권리와 의무가 다르게 적용되고, 만약 임차권을 승계하는 것이 불리하다고 판단되면, 법에 따라 승계를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미리 이해하고 준비해 두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전대차 계약이란 전대차 뜻
및 임대인 동의 관련 정리

아파트 청약 1순위
자격 요건 정리

Leave a Comment